넷플릭스 광고요금제 가격 올랐다…月 5500원 -> 7000원 인상

이미지
  넷플릭스 광고요금제 가격 올랐다…月 5500원 -> 7000원 인상 ​ 넷플릭스가 국내에서 일부 요금제 가격을 인상했다. 9일 넷플릭스는 공지를 통해광고형 스탠다드 요금이 월 5500원에서 7000원으로 인상된다고 밝혔다. 베이식 요금제도 9500원에서 1만2000원으로 올라간다.  신규 회원은 이날 오전 공지 이후부터 새로운 요금이 적용된다. 기존 회원은 이메일을 통해 개별 안내되며, 다음 결제 주기에 따라 순차 적용될 예정이다. 넷플릭스가 한국에서 요금제 인상에 나선 건 지난 2021년에 이어 두번째다.  한편 스탠다드, 프리미엄 요금제는 각각 1만3500원, 1만7000원으로 유지되며 네이버플러스 멤버십(4900원)도 이번 가격 인상 대상에서 제외됐다.

NXP, 신규 S32R47 이미징 레이더 프로세서 공개

이미지
  NXP, 신규 S32R47 이미징 레이더 프로세서 공개 ​  요약 NXP는 16nm 핀펫 기술을 적용한 S32R47 이미징 레이더 프로세서를 공개했습니다. 이 프로세서는 이전 세대 대비 2배의 처리 성능과 향상된 전력 효율성을 제공하며, 자율 주행 레벨 2+ 및 3 차량에 필수적인 레이더 성능을 개선합니다. S32R47은 고성능 멀티코어 레이더 처리 시스템과 AI/ML 지원을 통해 차세대 ADAS 시스템을 구현합니다. ​ NXP 반도체가 이미징 레이더 분야에서 검증된 전문성을 바탕으로 16nm 핀펫(FinFET) 기술을 적용한 신규 S32R47 이미징 레이더 프로세서를 공개했다.  이 3세대 이미징 레이더 프로세서는 이전 세대 대비 최대 2배의 처리 성능, 향상된 시스템 비용, 전력 효율성을 제공한다. S32R47 제품군은 NXP의 mmWave 레이더 트랜시버, 전력 관리, 차량 내 네트워킹 솔루션과 결합됐다. 이로써 기능 안전 ASIL ISO 26262 ASIL B(D) 요구 사항을 충족하고 자동차 업계가 새로운 수준의 자율 주행에 대비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공급망 컨설팅 회사 욜 인텔리전스(Yole Intelligence)의 2024 레이더 산업 현황 보고서에 따르면, 2029년까지 도로에 진입하는 차량의 약 40%가 자율 주행 레벨 2+(L2+) 혹은 레벨 3(L3)을 갖춘 승용차가 될 것이며, 레벨 4(L4)를 갖춘 차량의 수도 증가할 것으로 예상했다. 빠르게 성장하는 소프트웨어 정의 차량(software-defined vehicle, SDV)용 자율 주행 시장에 대응하기 위해 자동차 OEM과 1차 공급업체는 레이더 성능을 개선해야 한다. 이는 파일럿 주행이나 완전 자동 주차 등 안전한 첨단 자율 주행 기능에 필수적이다. 이미징 레이더는 보다 풍부한 포인트 클라우드 데이터를 활용해 환경을 더욱 상세하게 모델링한다. 이는 AI 기반 인식 시스템의 핵심 요소로, 복잡한 도시 시나리오와 같이 매우 까다로운 환경 조건에서 보조·자...

라이카 카메라, 올리브 그린으로 재해석한 ‘라이카 M11-P 사파리’ 스페셜 에디션 출시

이미지
  라이카 카메라, 올리브 그린으로 재해석한 ‘라이카 M11-P 사파리’ 스페셜 에디션 출시 ​  요약 라이카 M11-P 사파리 스페셜 에디션 출시. 올리브 그린 바디에 실버 조작 다이얼과 나사 디테일이 특징. 기존 M11-P 사양에 콘텐츠 자격 증명 기능, 6,000만 화소 센서, 256GB 내장 메모리, 사파이어 글라스 LCD 디스플레이, 라이카 FOTOS 앱 지원 등이 탑재됨. ​ 100년 전통의 독일 명품 브랜드 라이카(Leica)가 M11 시리즈의 새로운 스페셜 에디션 ‘라이카 M11-P 사파리(Leica M11-P Safari)’를 출시했다. 이번 에디션은 1970년대부터 꾸준히 사랑을 받아온 올리브 그린 컬러의 헤리티지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모델로, 클래식한 우아함과 세련된 감각을 동시에 담아냈다. ‘라이카 M11-P 사파리’는 차분한 올리브 그린 컬러의 바디에 동일한 톤의 가죽이 더해져 조화로운 외관을 완성했다. 상판과 전면에는 실버 컬러의 조작 다이얼과 나사 디테일이 올리브 그린 바디와 고급스럽게 어우러지며, 상징적인 라이카 레드 로고를 생략한 절제된 미감이 특징이다. 상판에는 클래식한 라이카 시그니처가 정교하게 각인되어 있으며, 후면의 블랙 버튼은 포인트가 되어 세련된 색상 조화를 이룬다. 제품 사양은 기존 M11-P와 동일하다. 세계 최초로 디지털 콘텐츠의 진위 여부를 검증할 수 있는 ‘콘텐츠 자격 증명 (Content Credentials)’ 기능을 탑재했으며, 최대 6,000만 화소의 풀 프레임 센서를 통해 섬세한 이미지 품질을 구현한다. 또한 256GB의 내장 메모리, 스크래치에 강한 사파이어 글라스 LCD 디스플레이, 그리고 라이카 FOTOS 앱을 통한 유무선 이미지 전송 등 M11-P의 주요 기능이 그대로 적용되었다. 라이카 카메라 관계자는 “‘라이카 M11-P 사파리’는 오랜 전통을 이어온 올리브 그린 컬러 라인의 현대적 해석이자, 라이카의 기술력과 디자인 철학을 하나로 담아낸 모델”이라며, “정밀한 사진 기술과 ...

애플, 아이폰 18 시리즈에 UDC 탑재 유력... 최초의 '올 스크린 아이폰' 등장 가능성 대두

이미지
  애플, 아이폰 18 시리즈에 UDC 탑재 유력... 최초의 '올 스크린 아이폰' 등장 가능성 대두 ​  요약 애플이 2026년 출시 예정인 아이폰 18 프로와 프로 맥스에 UDC 기술을 적용할 가능성을 검토 중이다. HIAA 기술을 통해 디스플레이에 구멍을 뚫어 3D 얼굴 인식 센서를 내장하는 방식이다. 이를 통해 화면 활용도가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 출처 - 애플(Apple) 애플이 차세대 아이폰 제품군에 업그레이드된 디스플레이·카메라 기술을 바탕으로 디자인 변화를 모색 중이라는 소식이 전해졌다. 8일 업계에 따르면, 애플은 오는 2026년 출시할 아이폰 18 시리즈에 UDC(Under Display Camera) 기술을 적용하는 방안을 고려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러한 소식은 중국 IT 팁스터 ‘数码闲聊站(디지털잡담소)’가 최근 공유한 웨이보 게시물을 계기로 온라인에 확산하는 상황이다. 지난 4일 数码闲聊站는 현지 공급망으로부터 정보를 입수했다는 주장과 함께, “애플이 아이폰 18 프로·프로 맥스의 디스플레이 아래로 3D 얼굴 인식 센서를 내장하는 기능을 테스트하고 있다”라며, “이는 ‘HIAA’ 기술을 통해 화면 레이아웃에 하나의 구멍을 만드는 방식으로 구현될 예정”이라고 밝혔다. HIAA(Hole In Area Active)는 디스플레이를 제조하는 과정 중 △OLED(유기발광다이오드)의 원재료를 기판 위에 쌓는 증착 공정 △산소와 수분 침투를 막기 위해 초박형 유·무기막을 적층하는 박막 봉지 공정 사이, 레이저 드릴을 이용해 디스플레이에 구멍을 뚫는 기술을 의미한다. 해당 기술을 이용하면 OLED 패널의 뒤편으로 카메라와 적외선·조도 센서, LED 인디케이터 등 각종 부품을 배치할 수 있다. 그간 삼성전자를 비롯한 다양한 스마트폰 제조사들은 전면 카메라가 배치되는 펀치 홀 자리에 투명 디스플레이를 만드는 UDC를 실현하기 위해 HIAA 기술을 활용해 온 것으로 알려졌다. UDC는 전면 카메라 탑재에 따라 발생하는 디스플레이 공...

넷플릭스, 직관적인 사용자 경험 제공하는 새로운 TV 홈화면 공개

이미지
  넷플릭스, 직관적인 사용자 경험 제공하는 새로운 TV 홈화면 공개 ​  요약 넷플릭스가 TV 홈화면을 간결하고 직관적인 디자인으로 개편하고, 콘텐츠 탐색을 돕는 새로운 기능을 추가했다. 또한, 생성형 AI를 활용한 검색 기능과 세로형 피드 기능 등 모바일 앱에도 새로운 기능을 도입할 예정이다. ​ 넷플릭스가 미국 현지 시각 5월 6일 TV에서의 넷플릭스 시청 즐거움을 강화하는 다양한 신규 기능들을 발표했다. 새롭게 공개된 넷플릭스 TV 홈화면은 회원들이 더 쉽고 빠르게 원하는 작품에 대한 정보를 살펴볼 수 있는 간결하고 직관적인 디자인이 중심이다. 이날 진행된 넷플릭스 프로덕트 컨퍼런스에는 넷플릭스 최고 프로덕트 책임자(CPO, Chief Product Officer) 유니스 킴과 넷플릭스 최고 기술 책임자 엘리자베스 스톤(CTO, Chief Technology Officer)이 참석했다. 또한, 이번 발표에서는 신규 TV 홈화면에 대한 소개 외에도, 업계를 선도하는 콘텐츠 전송 네트워크인 ‘오픈 커넥트(Open Connect)’부터 넷플릭스만의 정교한 개인 맞춤형 추천 등 넷플릭스가 지난 수년간 선보여온 기술 혁신들도 함께 조명되었다. 넷플릭스가 공개한 새로운 TV 홈화면은 향후 수주 내에 전 세계 회원들을 대상으로 점진적으로 적용된다. 새롭게 도입될 TV 홈화면 주요 신기능  • 한층 쉬워진 다음 시청작 탐색: 시청 결정을 도울 수 있는 모든 핵심 정보들을 전면에 배치. ‘에미상 수상작’이나 ‘TV 부문 1위’ 등의 태그로 각 콘텐츠의 특징을 표현해 어떤 작품을 선택할지 더욱 쉽게 확인 • 눈에 쉽게 띄는 메뉴 버튼: 화면 왼쪽에 위치했던 ‘검색’과 ‘내 리스트’ 항목을 TV 홈화면 상단으로 이동해 더 쉽게 찾고 사용할 수 있게 함 • 반응형 맞춤 추천: 순간순간의 기분이나 관심사에 더 잘 반응하도록 콘텐츠 추천 • 몰입감 있는 경험을 위한 디자인: 넷플릭스에게 기대하는 프리미엄 시청 경험을 만족시킬 깔끔하고 현대적인 디자인의 ...

소니, 최신 플래그십 '엑스페리아 1 VII' 5월 13일 공식 발표

이미지
  소니, 최신 플래그십 '엑스페리아 1 VII' 5월 13일 공식 발표 ​  요약 소니, 5월 13일 ‘엑스페리아 1 VII’ 공식 발표. 6.5인치 디스플레이, 스냅드래곤 8 엘리트 프로세서, 12GB 램 탑재. ​ 출처: 소니 소니에서 차세대 플래그십 스마트폰 '엑스페리아 1 VII'를 공식 발표일을 공개했다. 7일 소니는 공식 X 계정을 통해 5월 13일 일본시간 오전 11시 이벤트를 통해 '엑스페리아 1 VII'를 공식 발표한다고 밝혔다. 출시 이벤트는 온라인으로 진행되며 소니 유튜브 채널을 통해 생중계된다.  이전 보고서에 따르면 '엑스페리아 1 VII'는 6.5인치 디스플레이를 탑재한다. 전체적으로 이전 모델과 동일한 디자인을 유지하지만, 약간 더 짧고, 더 넓고, 더 두꺼울 것으로 예상된다. 내부에는 ▲퀄컴 스냅드래곤 8 엘리트 프로세서 ▲12GB 램 등 플래그십 사양을 탑재하고 안드로이드 15 운영체제(OS)가 사전 탑재될 것으로 예상된다.  '엑스페리아 1 VII' 출시 일정 및 가격 정보는 이벤트에서 공개될 것으로 예상되지만, 일본에서 먼저 출시되고 7월 중 글로벌 시장에 출시될 수 있다는 소문도 돌고 있다.

애플, 개발자용 iOS 18.5 RC 출시.. 다음주 정식 버전 출시 유력

이미지
  애플, 개발자용 iOS 18.5 RC 출시.. 다음주 정식 버전 출시 유력 ​  요약 개발자 대상 iOS 18.5 RC 출시, 다음 주 정식 버전 출시 예정. 메일 카테고리, 프로필 사진 조정, 프라이드 배경화면 추가, 아이폰13 위성 인터넷 지원 등 포함. ​ 6일(현지시간) 애플이 개발자를 대상으로 iOS 18.5 RC 버전을 출시했다. iOS 18.5 버전은 마이너 업데이트로 사소한 변경 사항이 담겨있다. 애플 메일 카테고리와 프로필 사진에 대한 일부 조정이 이루어졌으며 아이폰 및 아이패드용 새로운 프라이드 2025 배경화면도 포함하고 있다.  또한, 자녀의 기기에서 화면 시간 암호가 사용되면 부모에게 알림이 전송되며 애플 비전 프로 앱이 검은색 화면을 표시하는 버그도 수정됐다. 이밖에 아이폰13 시리즈에서는 통신사에서 제공하는 위성 인터넷 기능도 지원한다. RC 버전은 이전 GM(골든 마스터) 버전에 해당된다. 별다른 문제가 발견되지 않을 경우 이르면 다음 주 일반 사용자를 대상으로 정식 업데이트가 제공될 것으로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