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ybrid Drive의 장점은 앞서 언급한 것이 전부는 아니다. Hybrid Drive는 ODD에 SSD를 탑재함으로써 SSD의 빠른 속도를 경험할 수 있도록 즉, SSD와 ODD를 따로 사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ODD 탑재 공간 외에는 추가적으로 필요로 하는 공간이 없어 HDD 또한 독립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추가적인 공간의 필요 없이 SSD와 HDD, ODD까지 세 마리 토끼를 모두 잡은 것이다. 하이브리드 HDD의 기능도 담았다
Hybrid Drive가 SSD를 독립적으로 사용할 수 있지만, 이를 HDD와도 결합시킬 수 있도록 했다. 일전에 HDD 제조사들이 앞다투어 내놓았던 HDD+SSD 조합의 하이브리드 HDD를 기억하는 이들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최근에도 새롭게 이러한 제품이 출시됐다. 이 제품의 특징은 HDD의 높은 용량을 유지하면서도 주로 사용되는 애플리케이션을 SSD에서 읽어 들임으로써 SSD에 근접한 속도를 도모하기 위함이다. 
Hybrid Drive 또한 이와 유사한 ‘Booster Mode’ 기능을 지원한다. 그러나 이와 동일 기능이었다면 그리 주목 받지 못했을 터, HDD+SSD 조합의 하이브리드 HDD가 SSD를 단지 캐시 메모리로 사용하는데 그쳤다면 Hybrid Drive는 SSD의 일부분 만을 캐시 메모리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해 SSD의 빠른 속도를 유지하면서도 상대적으로 느린 HDD의 속도를 높일 수 있도록 했다. 즉, SSD는 OS 전용으로 사용하면서 빠른 속도를 경험하고, SSD 저장공간 일부분을 HDD의 캐시 메모리로 활용해 HDD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보다 빠르게 읽어 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물론 이러한 기술은 Hybrid Drive가 어떠한 모델인가에 따라 달라진다. 앞서도 얘기했듯 Hybrid Drive는 현재 출시된 제품이 아닌 앞으로 출시될 제품을 위한 것이다. 즉, Hybrid Drive에 탑재된 SSD 용량은 저가형을 위해 4GB~16GB까지 소용량 모델이 있고, 또 OS 설치나 보다 많은 용량을 위한 32GB~256GB의 모델군으로 나뉘어 진다. 소용량 모델일 경우에는 하이브리드 HDD와 같이 Boost Mode를 통해 HDD의 속도를 높일 수 있고 대용량 모델은 Boost Mode 사용은 물론 SSD도 독립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Hybrid Drive만의 장점, Defect Management
Hybrid Drive가 SSD를 탑재함으로써 크기의 변화 없이 SSD의 빠른 속도와 HDD의 저장공간, 그리고 ODD의 확보 등 이들의 장점을 모두 활용할 수 있었다면, Hybrid Drive가 제공하는 기능 중 ‘Defect Management’ 기능은 ODD와 SSD가 만남으로서 얻을 수 있는 Hybrid Drive만의 이득이라 할 수 있다. ODD의 기본적인 동작 구조는 대부분 알고 있을 것이다. 그리고 CD나 DVD, 블루레이 디스크 등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읽어내는 속도가 HDD나 SSD만큼 빠르지 않다는 것도 알고 있으리라 생각된다. Hybrid Drive에서만 경험할 수 있는 Defect Management 기능은 바로 이러한 ODD 부족한 부분을 어느 정도는 해결할 수 있는 기능이라 할 수 있다. 
Hybrid Drive에 탑재되어 있는 SSD에 CD나 DVD, 블루레이 디스크에서 스크래치나 핑커프린트 등으로 손상된 부분의 데이터를 미리 SSD에 저장하게 된다. 이에 따라 프로그램 설치 시 발생하는 오류도 줄임과 동시에 설치 시간도 단축시킬 수 있고, 또 DVD나 블루레이 디스크 등에 스크래치가 발생할 경우 영화 등을 볼 때 간혹 멈추는 현상이 발생하는데, Hybrid Drive는 미리 데이터를 SSD에 저장하기 때문에 이러한 문제도 발생하지 않게 된다. 대단한 기능이라고는 할 수 없겠지만, ODD와 SSD를 결합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차별화된 장점인 것이다. 4.그 성능을 점검해 보자 |
---|
Hybrid Drive의 경우 하이브리드 HDD와 같은 Booster Mode 기능을 가지고 있다. SSD의 일부분을 캐시 메모리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해 자주 사용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읽어 드리는데, SSD만큼 빠른 성능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SSD를 캐시 메모리만으로도 활용할 수 있게 했지만, SSD도 독립적으로 활용할 수 있기까지 하다. 32GB나 64GB와 같이 비교적 적은 SSD 용량이 제공되는 모델일 경우 대용량 멀티미디어 콘텐츠 등을 HDD에 저장하게 되는데, SSD의 일부분을 HDD의 캐시 메모리로 활용함으로써 이들을 읽어드리는데 성능을 높인 것이다. 그리고 SSD는 SSD 나름대로의 빠른 성능을 유지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성능은 어떠할까? Hitachi-LG Dada Storage에서 테스트한 결과에 따르면 SSD를 캐시 메모리로 활용할 경우 PC 부팅 시간은 기존 HDD만을 사용했을 때보다 60~70% 빠른 부팅이 가능하고, 그 외에 멀티 작업이나 파일을 읽어드릴 때도 최대 70%까지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SSD를 독립적으로 사용하면서 Boost Mode를 사용했을 때도 이와 비슷한 성능향상을 보이고 있다. 결코 불필요한 기능은 아니라는 얘기다. Hybrid Drive가 위와 같은 기능도 제공되지만, 이의 최대 목적은 기존 SSD 제품과 마찬가지로 Hybrid Drive에 탑재되어 있는 SSD 영역을 OS 전용으로 사용하기 위함이다. 이에 SSD의 성능을 확인해 보지 않을 수 없다. SSD의 성능을 알아보기 위한 테스트 방법은 기존 SSD 제품들과 동일. 과연 기존 HDD에 비해 얼마나 성능향상을 이룰 수 있는지 살펴보도록 하자. Hybrid Drive와 비교할 HDD는 일반적인 7200RPM 속도를 갖춘 제품이다. 테스트 시스템 | CPU | 인텔 코어 i5 665K 3.2GHz | 메인보드 | 인텔 DX58SO | 메모리 | DDR3 1333MHz 4GB | 운영체제 | 윈도우 7 |
 <HDD ATTO Disk 테스트 결과>
 <Hybrid Drive 테스트 결과>
먼저 ATTO Disk를 통해 HDD와 Hybrid Drive의 최대 속도를 알아봤다. 이 벤치마크 프로그램은 종합적인 성능측정보다는 구간별 최대 속도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기에 HDD와 Hybrid Drive간의 읽기 및 쓰기 속도가 얼마만큼 차이를 보이는지 확인할 수 있다. 그 결과는 위와 같다. Hybrid Drive에 탑재된 SSD는 현재 보급형으로 판매되고 있는 제품과 비슷한 속도라 할 수 있다. 보급형 SSD 제품들의 경우 읽기속도는 빠르지만 쓰기 속도는 그리 빠르지 않은 것이 일반적, Hybrid Drive 또한 쓰기 속도는 그리 높지 않게 나왔다. 다만, 읽기속도만큼은 보급형 제품들 보다 비교적 높은 수준으로 측정됐다. 

다음은 크기가 작은 파일에서 얼마만큼의 성능을 낼 수 있는지 측정해 봤다 HDD와 SSD를 비교하기에는 무리가 있음으로 단지 HDD와 SSD간의 4K 속도가 어느 정도 차이가 나는지 단지 참고 수준으로 보길 바란다. 
운영체제 부팅에서부터 여러 애플리케이션 로딩시간, 점유율, 바이러스 스캔 및 파일 쓰기 등 여러 종합적인 테스트를 통해 그 결과를 수치로 보여주는 PCmark05에서의 성능은 위와 같다. 그 점수차가 매우 큰 것을 확인할 수 있을 텐데, 이것이 바로 SSD만의 장점이 아닌가 한다.
|
|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