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킨슨병' 피부에 붙이면 치료, 진단되는 '전자피부' 개발

파킨슨병과 같은 운동장애를 손쉽게 진단하고 치료할 수 있는 착용형(웨어러블) 나노소자가 국내 연구진에 의해 개발됐다.
기초과학연구원(IBS) 나노입자연구단(단장 현택환)의 김대형 서울대 교수 연구팀은 나노물질을 이용해 운동장애 질환을 진단하고 약물 투여 등 치료까지 제공하는 착용형 나노장치를 개발했다.
연구팀이 개발한 나노소자는 나노박막 센서, 메모리 소자, 치료용 약물, 히터 등 다양한 전자소자가 포함돼 있으며, 피부와 비슷하게 25%가량 늘어날 수 있어 손목 부위에 붙여도 손목을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다.
연구팀은 반도체를 만들 듯 기판 위에 나노전자소자를 배열하고, 이를 유연한 패치에 인쇄하는 방식으로 나노전자소자를 제작했다. 작동원리는 센서가 운동장애의 패턴을 상시 측정하면, 메모리 소자에 측정 결과가 저장된다. 히터는 이 정보를 바탕으로 내려진 진단 결과에 따라 피부에 투여하는 약물의 양을 온도로 조절한다. 온도를 높이면 약물 투여량이 늘어난다.
이런 특성은 파킨슨병, 수전증, 간질 등 데이터를 정량적으로 측정해 실시간으로 진단해야 하는 운동장애 질환 치료에 적합하다.
김 교수는 "스마트폰, 스마트시계 등 모바일 기기와 연동해 활용하면 원격 진료 등 새로운 시장을 창출하는데 이바지하는 기술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 연구결과는 31일 세계적 학술지인 '네이처 나노테크롤로지'(Nature Nanotechnology)에 발표됐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애플, 에어팟·프로·맥스 최신 펌웨어 업데이트 '6F21' 출시

애플, 에어팟 프로2용 새로운 펌웨어 '7A305' 출시

애플, iOS 17.5.2 마이너 업데이트 출시 임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