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 2025의 게시물 표시

애플, 아이폰 및 아이패드용 iOS 18.4 두 번째 RC 버전 출시

이미지
  애플, 아이폰 및 아이패드용 iOS 18.4 두 번째 RC 버전 출시 ​  요약 iOS 18.4 두 번째 RC 버전 출시, 이미지 플레이그라운드 스케치 스타일 추가, 애플 뉴스+ 레시피, 포토 라이브러리 필터링 개선, 버그 수정 및 보안 업데이트 포함. ​ 지난주 28일 애플이 아이폰 및 아이패드를 위한 iOS 18.4 두 번째 RC 버전을 공개했다.  애플은 "이번 업데이트는 이미지 플레이그라운드에 새로운 스케치 스타일 옵션이 추가됐으며. 애플 뉴스+의 레시피, 포토(Photos)의 라이브러리를 더 잘 정리할 수 있는 향상된 필터링 기능, 버그 수정 및 보안 업데이트가 포함되어 있다"고 설명했다. 또한, iOS 18.4 버전에서는 애플 인텔리전스(Apple Intelligence)에 한국어 등 더 많은 언어 지원이 추가됐으며 애플의 기기 위치 추적 기능인 '나의 찾기(Find My)' 기능도 국내에 공식 도입된다.  RC 버전은 이전 GM(골든 마스터) 버전에 해당된다. 별다른 문제가 발견되지 않을 경우 이르면 이번 주 일반 사용자를 대상으로 정식 업데이트가 제공될 것으로 예상된다.

알리바바 클라우드, 엔드투엔드 멀티모달 AI 모델 Qwen2.5-Omni-7B 공개

이미지
  알리바바 클라우드, 엔드투엔드 멀티모달 AI 모델 Qwen2.5-Omni-7B 공개 ​  요약 알리바바 클라우드가 70억 파라미터의 멀티모달 AI 모델 Qwen2.5-Omni-7B를 공개했습니다. 이 모델은 텍스트, 이미지, 음성, 영상 등 다양한 입력 정보를 처리하며, 엣지 디바이스에 최적화된 멀티모달 AI 기술의 새로운 표준을 제시합니다. Qwen2.5-Omni-7B는 오픈소스로 공개되었으며, 다양한 모달리티에서 뛰어난 성능을 발휘합니다. ​ 알리바바 그룹의 디지털 기술 및 인텔리전스 중추인 알리바바 클라우드가 자사 큐원(Qwen) 시리즈의 통합 엔드투엔드(end-to-end) 멀티모달 모델인 Qwen2.5-Omni-7B를 새롭게 공개했다.   이번 모델은 종합적인 멀티모달 인식을 위해 설계되어, 텍스트, 이미지, 음성, 영상 등 다양한 형태의 입력 정보를 처리하고 실시간 텍스트 및 자연스러운 음성 응답을 지원함으로써 모바일 기기와 노트북과 같은 엣지 디바이스에 최적화된 멀티모달 AI 기술의 새로운 표준을 제시한다. Qwen2.5-Omni-7B는 7B(70억) 파라미터의 컴팩트한 설계에도 불구하고 성능 저하 없이 강력한 멀티모달 처리 능력을 제공한다. 이러한 고유한 조합은 특히 지능형 음성 애플리케이션과 같이 실질적인 가치를 제공하는 민첩하고 비용 효율적인 AI 에이전트 개발에 적합하다. 예를 들어 이 모델은 시각 장애인이 실시간 음성 설명을 통해 주변 환경을 인식하고 탐색할 수 있도록 지원하거나, 동영상 속 재료를 분석해 단계별 요리 가이드를 제공하는 데 활용될 수 있다. 또한 고객의 니즈를 정확히 이해하는 지능형 고객 응대 시스템 구현에도 적용 가능하다. Qwen2.5-Omni-7B는 현재 허깅페이스(Hugging Face)와 깃허브(GitHub)를 통해 오픈소스로 공개되었으며, 큐원 챗(Qwen Chat)과 알리바바 클라우드 오픈소스 커뮤니티인 모델스코프(ModelScope)를 통해서도 접근할 수 있다. 알리바바 클라우드는...

미리보는 갤럭시S26 울트라 성능은? '스냅드래곤 8 엘리트 2' 안투투 벤치마크 유출

이미지
미리보는 갤럭시S26 울트라 성능은? '스냅드래곤 8 엘리트 2' 안투투 벤치마크 유출 ​  요약 갤럭시S26 울트라에 탑재될 스냅드래곤 8 엘리트 2 칩셋의 안투투 벤치마크 점수가 380만점으로 유출됨. 이는 1세대 대비 41% 성능 향상을 의미하며, TSMC 3나노 공정으로 제조될 예정. ​  삼성전자의 차기 플래그십 스마트폰 갤럭시S26 울트라 모델의 성능을 미리 엿볼 수 있는 '스냅드래곤 8 엘리트 2(가칭)' 칩셋의 안투투 벤치마크가 유출됐다. 중국 소셜 미디어 웨이보에 유출된 새로운 보고서에 따르면 '스냅드래곤 8 엘리트 2' 칩셋은 안투투 벤치마크에서 약 380만점을 획득했다. 현재 안투투 벤치마크 차트에서 가장 높은 점수를 기록힌 기기는 스냅드래곤 8 엘리트 기반 iQOO 13이다. 2세대 스냅드래곤 8 엘리트 칩셋은 이보다 약 41% 성능이 향상된 수준이다. 2세대 스냅드래곤 8 엘리트 칩셋은 2세대 오라이온(Oryon) CPU를 탑재할 것으로 예상된다. TSMC의 3세대 3나노(N3P) 공정으로 제조되고 프라임 코어 2개와 성능 코어 6개를 탑재할 것으로 알려졌다. 삼성전자는 삼성파운드리의 저조한 3나노 수율 문제로 올해 갤럭시S25 시리즈에 스냅드래곤 8 엘리트 칩셋을 전량 탑재했다. 차기 갤럭시S26 시리즈 일부 모델에는 2나노 공정의 엑시노스 2600 칩셋이 탑재될 수 있다는 루머도 돌고 있지만, 최소한 울트라 모델에는 스냅드래곤 칩셋이 사용될 가능성이 높다.

구글 '픽셀 9a' 발열 문제 해결했나? 4월 10일 출시 확정

이미지
  구글 '픽셀 9a' 발열 문제 해결했나? 4월 10일 출시 확정 ​  요약 구글 픽셀 9a, 4월 10일 미국, 캐나다, 영국에서 출시, 14일 유럽, 16일 호주, 인도 등 추가 출시 예정. 가격은 499달러부터. ​ 픽셀 9a (출처: 구글)  구글이 최신 중급 스마트폰 '픽셀 9a' 모델의 출시일을 확정했다. 31일 외신에 따르면 구글은 4월 10일 미국, 캐나다, 영국에서 '픽셀 9a'를 가장 먼저 판매한다고 발표했다. 4월 14일에는 독일, 스페인, 이탈리아, 아일랜드, 프랑스, 노르웨이, 덴마크, 스웨덴, 네덜란드, 벨기에, 오스트리아, 포르투갈, 스위스, 폴란드, 체코, 루마니아, 헝가리, 슬로베니아, 슬로바키아, 리투아니아, 에스토니아, 라트비아, 핀란드로 출시가 확대될 예정이며 4월 16일에는 호주, 인도, 싱가포르, 대만, 말레이시아에서도 판매가 시작될 예정이다.  구글은 지난 19일 '픽셀 9a'를 발표했지만 특정 모델에서 구성 요소 품질 문제가 발견되면서 출시 날짜는 공개하지 않았다. 이후 카메라 주변 발열 문제가 출시 연기의 핵심 원인일 가능성이 크다는 보고서가 전해지기도 했다.  '픽셀 9a' 가격은 499달러부터 시작된다.

맥라렌, 롱테일(Long Tail) 출시 10주년 기념 ‘셀레브레이트 LT’ 행사 개최

이미지
  맥라렌, 롱테일(Long Tail) 출시 10주년 기념 ‘셀레브레이트 LT’ 행사 개최 ​  요약 맥라렌이 롱테일(Long Tail) 모델 출시 10주년을 맞아 ‘셀레브레이트 LT’ 행사를 개최한다. 이 행사에서는 LT 모델 전시, 오너 초청 행사, 드라이빙 이벤트 등 다양한 프로그램이 진행될 예정이다. ​ 롱테일(Long Tail) 배지를 부착한 6종의 아이코닉한 LT모델 │제공-맥라렌 오토모티브 맥라렌 오토모티브(McLaren Automotive)가 맥라렌 LT(Long Tail) 모델 출시 10주년을 기념해 ‘셀레브레이트 LT(Celebrate LT)’ 행사를 진행한다고 31일 밝혔다. LT란 긴 꼬리를 의미하는 롱테일(Long Tail) 이름처럼 말 그대로 차량의 실루엣을 기존보다 더욱 연장한 기종을 가리킨다. 스포일러가 길어진만큼 다운포스가 향상돼 한층 업그레이드된 퍼포먼스를 보여준다. 맥라렌은 지난 2015년 3월 제네바 국제 모터쇼에서 첫 LT 모델을 공개한 이래 지금까지 총 6종을 출시했다. 맥라렌이 출시한 첫 번째 LT모델은 675LT이다. 이 모델은 1997년 르망24시 내구레이스에서 클래스 우승을 차지한 맥라렌 F1 GTR ‘롱테일’을 모티브로 하며, 맥라렌의 양산형 슈퍼카 650S 기반으로 제작된 한정판 쿠페이다. 이에 675LT는 드라이버와의 완벽한 교감, 트랙 중심의 역동성, 경량의 차체, 공기역학 성능 최적화, 강력한 파워, 희소성 등 맥라렌 LT철학의 근간을 이루는 6가지 핵심 요소를 응축한 결정체로 손꼽힌다. 맥라렌이 가장 최근 공개한 LT 모델 765LT 스파이더 │제공-맥라렌 오토모티브 이후 맥라렌은 600LT, 765LT 등 쿠페, 컨버터블을 아우르는 5종을 연이어 선보였다. 가장 최근에 출시한 모델은 2021년에 공개한 765LT 스파이더이다. 이는 맥라렌 레이싱 혈통을 계승하는 압도적인 퍼포먼스로 슈퍼카 업계에 깊은 인상을 남긴 한정 생산 모델로, 지금까지 그 희소성과 높은 소장가치를 인정받고 있다. ...

애플, 자체 개발 5G 모뎀 탑재 '아이패드 프로' 초기 개발 시작

이미지
  애플, 자체 개발 5G 모뎀 탑재 '아이패드 프로' 초기 개발 시작 ​  요약 애플, M6 칩과 자체 5G 모뎀 탑재 아이패드 프로 초기 개발 시작. 2027년 출시 예정. ​ 아이패드 프로 (출처: 애플) 애플이 M6 칩과 자체 개발한 5G 모뎀이 탑재된 아이패드 프로 모델의 초기 개발을 시작했다고 외신이 블룸버그통신 마크 거먼의 최신 파워 온 뉴스레터를 인용해 30일(현지시간) 보도했다. 거먼은 보고서에서 "애플이 2027년 M6 칩과 자체 개발한 5G 모뎀이 장착된 아이패드 프로 모델을 출시할 계획이며, 초기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고 전했다. 애플은 아이폰16e 모델에 자체 개발한 'C1' 모뎀을 최초 탑재했다. C1 모뎀은 애플의 일종의 테스트 버전이다. 퀄컴의 스냅드래곤 모뎀 대비 전력 소모량이 적어 배터리 수명을 향상시키지만 더 빠른 mmWave 네트워크는 지원하지 않는다. 2세대 모델은 'C2' 모뎀일 가능성이 높으며 mmWave 지원이 추가되고 1세대 모델보다 성능이 향상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2세대 C2 모뎀은 2026년 아이폰18 프로와 아이폰18 프로 맥스 모델에 탑재할 것이라는 소문도 돌고 있다. 외신은 "애플은 일반적으로 18개월마다 신형 아이패드 프로를 선보인다"면서 "현재 모델이 2024년 5월에 출시된 만큼, M5 칩이 탑재된 차기 모델은 올해 10월 출시되고, M6 칩과 차기 C2 모뎀이 탑재된 아이패드 프로는 2027년 상반기 출시될 가능성이 높다.

애플, 올해 출시할 아이패드·맥북... 최신 3나노 공정으로 전력 효율·성능 개선한 ‘M5’ 탑재!

이미지
  애플, 올해 출시할 아이패드·맥북... 최신 3나노 공정으로 전력 효율·성능 개선한 ‘M5’ 탑재! ​  요약 애플이 M5 프로세서를 탑재한 아이패드 프로와 맥북 프로를 개발 중이며, 아이패드 프로는 올해 10월 출시될 것으로 예상된다. M5 칩은 TSMC의 3nm 공정으로 생산되며, 전력 효율과 성능이 향상되었다. 맥북 프로에도 M5가 적용되지만, 하드웨어 업그레이드는 미미할 것으로 보인다. ​ 아이패드 프로 13 | 출처 - 애플(Apple) 애플이 차세대 애플 실리콘 프로세서를 탑재한 아이패드 프로 및 맥북 프로 제품군을 개발 중이라는 소식이 전해졌다. 30일(현지 시각), 블룸버그통신의 마크 거먼은 이날 파워온 뉴스레터를 통해 애플이 M5 프로세서를 탑재한 아이패드 프로를 올해 말 출시하기 위해 제품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그의 주장에 따르면, M5 기반 아이패드 프로는 현재 애플 내부에서 고도화 테스트 과정을 거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시제품 제작과 소프트웨어 최적화 등의 과정을 거친 뒤, 디자인 확정 및 본격 양산은 올해 하반기 이뤄질 전망이다. 나아가 이 모든 일정이 차질 없이 진행된다면, 2025년형 아이패드 프로는 이르면 올해 10월 중 출시될 것으로 관측된다. 애플 아이패드 프로 제품군이 마지막으로 출시된 것은 지난 2024년 5월이다. 11형(11.11인치) 및 13형(12.9인치) 2개 모델로 구성된 최신 아이패드 프로는 M4 프로세서와 함께, 역대 아이패드 중 최초로 OLED(유기발광다이오드) 패널을 탑재한 제품으로 등극하며 큰 이목을 끌었다. 다만 올해엔 프로세서를 제외한 디자인 및 하드웨어 업그레이드는 크지 않을 가능성이 유력하다. 탠덤 OLED 패널을 적용하면서 이미 전작보다 얇고 가벼운 폼팩터를 갖추게 되었으며, 디스플레이 규격도 13형 모델의 출시로 앞서 변경된 상황이다.  2024년형 맥북 프로 | 출처 - 애플(Apple) M5 칩의 패키징 공정은 올해 초부터 시작된 것으로 파...

미디어텍, 차세대 플래그십 'Dimensity 9500' 사양 유출

이미지
  미디어텍, 차세대 플래그십 'Dimensity 9500' 사양 유출 ​  요약 ​ 출처: 미디어텍 미디어텍(MediaTek) 차세대 플래그십 Dimensity 9500 칩셋의 사양이 유출됐다.  중국 웨이보 보고서에 따르면 Dimensity 9500 칩셋은 TSMC 3세대 3나노(N3P) 공정을 기반으로 제작되고 Arm Cortex-X CPU 코어 디자인을 특징으로 한다. Cortex-X930 코어 1개(코드명 Travis), 보다 낮은 클럭의 Cortex-X930 코어 3개(코드명 Alto), Cortex-A730 코어 4개(코드명 Gelas)로 구성되며 GPU는 Immortalis Drage를 탑재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번 정보는 앞서 전해졌던 Dimensity 9500이 Travis 코어 2개, Gelas 코어 6개로 구성될 것이라는 루머와 다르다. 이는 미디어텍이 초기 사양을 변경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미디어텍은 이르면 3분기 Dimensity 9500 칩셋을 공개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 다른 보고서에 따르면 미디어텍은 두 번째 올 빅코어로 구성된 Dimensity 9450으로 불리는 칩셋도 개발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기아, ‘더 기아 타스만 테크 데이’ 개최... 온·오프로드 넘나드는 타스만 전격 해부!

이미지
  기아, ‘더 기아 타스만 테크 데이’ 개최... 온·오프로드 넘나드는 타스만 전격 해부! ​  요약 기아는 27일 서울에서 ‘더 기아 타스만 테크 데이’를 열고, 정통 픽업트럭 타스만의 다양한 기술을 소개했다. 타스만은 보디 온 프레임 구조로 최대 700kg 적재와 3,500kg 견인 능력을 확보했으며, 252mm 최저지상고와 800mm 도하 성능을 자랑한다. 또한, 2속 ATC, e-LD, X-트렉 모드 등 다양한 오프로드 사양과 3,500kg 견인 성능을 탑재했다. ​ 더 기아 타스만 테크 데이 현장 모습. │사진 제공-기아 기아가 27일(목) 서울 서초구에 위치한 세빛섬 플로팅아일랜드에서 ‘더 기아 타스만 테크 데이(The Kia Tasman Tech Day)’를 개최했다. 이날 기아는 오프로드와 온로드를 자유롭게 넘나드는 더 기아 타스만(The Kia Tasman, 이하 타스만)에 적용된 다양한 기술을 선보였다. 이번 행사는 RV 시장을 선도해 온 기아가 처음으로 선보이는 정통 픽업인 타스만에 적용된 다양한 특화 사양을 상세히 소개하고, 기아의 우수한 기술력을 알리기 위해 마련됐다. 기아는 이날 타스만 개발을 담당한 연구원의 발표를 통해 타스만에 적용된 다양한 온·오프로드용 기술을 소개하고, 각 기술에 대한 이해도를 높일 수 있도록 관련 부품을 전시한 별도의 공간을 구성했다. 기아는 이번 행사에서 ▲새로운 픽업 플랫폼 ▲도하 성능 ▲견고함과 활용성을 갖춘 적재 능력 등 정통 픽업의 특성을 구현하기 위해 적용된 차체 설계에 대해 설명했다. 또한 ▲2속 ATC(Active Transfer Case) ▲전자식 차동기어 잠금장치(e-LD, Electronic Locking Differential) ▲전용 터레인 모드 등 우수한 오프로드 성능을 구현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과 토잉 특화 기능을 선보였다. 이밖에도 ▲온·오프로드 모두 안정적으로 주행 가능한 R&H 성능 ▲우수한 NVH 성능 ▲동급 최대 수준의 2열 공간 등 최적의 주행 경험...

벤츠 코리아, 2025 서울모빌리티쇼서 ‘메르세데스-AMG GT’ 포함 15개 차량 공개... ‘마누팍투어 스튜디오’ 마련

이미지
  벤츠 코리아, 2025 서울모빌리티쇼서 ‘메르세데스-AMG GT’ 포함 15개 차량 공개... ‘마누팍투어 스튜디오’ 마련 ​  요약 메르세데스-벤츠 코리아는 2025 서울모빌리티쇼에서 2세대 AMG GT 등 15대 차량을 전시한다. 고성능 차량과 함께, 최고급 차량 개인 맞춤 제작 프로그램 ‘마누팍투어’도 선보인다. ​ 메르세데스-AMG GT │제공-메르세데스-벤츠 코리아 메르세데스-벤츠 코리아㈜는 4월 3일(목) 언론공개행사를 시작으로 4월 13일(일)까지 개최되는 ‘2025 서울모빌리티쇼’에 참가, ‘퍼포먼스 럭셔리 및 최고급 맞춤 제작’을 주제로 2세대 완전변경 ‘메르세데스-AMG GT’를 포함해 총 15대의 차량을 선보인다고 밝혔다. 메르세데스-벤츠 코리아는 고성능 브랜드 ‘메르세데스-AMG’의 ‘2세대 완전변경 GT’를 비롯해 ‘CLE 53 4MATIC+ 쿠페’ 등을 국내 최초로 선보이며, 고성능 차량을 중심으로 한 최상위 차량 라인업을 전시하고, 최고급 차량 개인 맞춤 제작 프로그램 ‘마누팍투어(MANUFAKTUR)’를 선보인다. ‘메르세데스-AMG GT’는 ‘퍼포먼스 럭셔리’를 대표하는 고성능 2-도어 쿠페로, 모터스포츠 DNA를 탑재해 최상위 스포츠카의 정수를 보여준다. 메르세데스-AMG GT는 모터스포츠 기술을 통한 강력한 퍼포먼스와 함께 스타일리시하고 역동적인 디자인을 통해 운전자에게 일상에서의 레이싱카 감성을 제공한다. ‘메르세데스-AMG CLE 53 4MATIC+ 쿠페’는 지난해 국내 시장에 출시한 ‘메르세데스-벤츠 CLE 쿠페’의 고성능 모델로, 기존의 우아한 디자인과 AMG 특유의 민첩성 및 다이내믹한 드라이빙의 즐거움을 더해 퍼포먼스 쿠페의 새로운 기준을 제시한다. 메르세데스-AMG CLE 53 4MATIC+ 쿠페 │제공-메르세데스-벤츠 코리아 또한 특별한 한정판 모델들도 전시한다. 먼저, 지난 1월 출시한 메르세데스-AMG E-클래스에 독특한 내·외관 디자인 요소를 적용해 국내 10대 한정 판매 예정인 ‘메르세...

애스턴마틴, 신형 뱅퀴시 볼란테(Vanquish Volante) 공개... “고성능과 우아하면서도 강렬한 디자인 동시에 갖춰”

이미지
애스턴마틴, 신형 뱅퀴시 볼란테(Vanquish Volante) 공개... “고성능과 우아하면서도 강렬한 디자인 동시에 갖춰” ​  요약 애스턴마틴이 신형 뱅퀴시 볼란테를 출시했다. 5.2리터 V12엔진을 탑재해 최고출력 835PS, 최대토크 1000Nm를 발휘하며, 최고속도는 시속 214마일이다. 쿠페 모델의 강렬한 퍼포먼스와 오픈톱 드라이빙의 짜릿함을 동시에 선사하며, 뱅퀴시라는 이름에 걸맞은 존재감을 자랑한다. ​ 신형 뱅퀴시 볼란테(Vanquish Volante)│제공-애스턴마틴 애스턴마틴이 신형 뱅퀴시 볼란테(Vanquish Volante)의 출시를 발표했다. 신형 뱅퀴시 볼란테는 애스턴마틴 역사상 가장 빠르고 강력한 오픈톱 양산 모델로 쿠페 모델과 함께 현재 판매 중인 프론트 엔진 차량 중 가장 빠르고 강력한 성능을 자랑한다. 뛰어난 성능과 우아하면서도 강렬한 디자인을 동시에 갖춘 신형 뱅퀴시 볼란테는 브랜드를 대표하는 ‘볼란테’라는 이름의 60주년을 기념하기에 가장 완벽한 모델로 꼽힌다. 애스턴마틴의 새로운 5.2리터 V12엔진을 탑재한 신형 뱅퀴시 볼란테는 최고 출력 835PS, 최대토크 1000Nm를 발휘하며, 최고 속도는 시속 214마일에 달한다. 쿠페 모델의 강렬한 퍼포먼스를 그대로 유지하면서도 오픈톱 드라이빙 특유의 짜릿한 감각을 선사한다. 신형 뱅퀴시 볼란테는 컨버터블 모델이 지닌 스타일과 감각적인 매력을 극대화하면서도 기존 오픈톱 모델에서 흔히 발생하는 한계를 최소화하도록 설계됐다. 쿠페 모델과 동일한 아름다움을 유지하면서도 중량 증가를 최소화한 신형 뱅퀴시 볼란테는 브랜드의 플래그십 모델에만 허락된 ‘뱅퀴시’라는 이름에 걸맞은 존재감을 자랑한다. 신형 뱅퀴시 볼란테는 60년의 역사를 이어온 모델 계보의 정점에 선 존재다. ‘볼란테’라는 이름을 처음으로 부여받은 애스턴마틴 모델은 1965년 출시된 숏 섀시 볼란테(Short Chassis Volante)로 앞서 출시된 컨버터블 DB5와 이후 등장한 DB6 볼란테의 디자인 요소를 ...